본문 바로가기
알아두면쓸모있는 생활정보

건강보험료 산정기준: 소득, 재산, 부양가족까지 쉽게 풀어보자

by story4588 2025. 5. 1.
반응형

안녕하세요,

오늘은 매달 통장에서 빠져나가는 건강보험료가 어떻게 계산되는지,

그리고 부양가족 등록으로 어떻게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보려고 해요.

건강보험료는 직장인과 자영업자(지역가입자)에 따라 계산 방식이 다르고, 소득과 재산이 기준이 되는데요.

부양가족 등록은 보험료 부담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답니다! 

자, 시작해 볼까요?

건강보험료산정기준

건강보험료, 누가 내는 거지? 

건강보험료는 크게 직장가입자지역가입자로 나뉘어요. 이 둘의 계산 방식이 다르니, 먼저 내가 어디에 속하는지 확인해 볼게요.

  • 직장가입자: 회사에 다니는 직장인, 공무원, 교사 등. 회사와 내가 보험료를 반반씩 부담해요.
  • 지역가입자: 자영업자, 프리랜서, 무직인 분들. 직장가입자나 그 피부양자가 아니면 지역가입자로 분류돼요. 이 경우는 100% 본인이 부담합니다.

피부양자란?
직장가입자의 배우자, 부모, 자녀 등 주로 생계를 함께하는 가족으로,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면 보험료를 안 내도 돼요. 아래에서 부양가족 등록과 혜택을 자세히 다룰게요!

 

 

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: 월급만 보면 돼! 

직장가입자는 계산이 간단해요. 월급(보수월액)에 보험료율을 곱하면 끝!

2024년 기준 보험료율은 7.09%이고, 회사와 내가 50:50으로 나눠 부담해요.

계산 공식

건강보험료 = 보수월액 × 7.09% ÷ 2 (본인 부담)

추가 팁:

  • 월급 외 소득(이자, 배당 등)이 연 2,000만 원을 넘으면 추가로 소득월액보험료를 내야 해요. 이건 100% 본인 부담!
  • 최저 보험료는 약 1.8만 원, 최고는 약 63.6만 원으로 상한선이 있어요.

직장가입자 보험료 예시

월급 본인 부담 보험료 (7.09% ÷ 2)
200만 원 약 7.1만 원
300만 원 약 10.6만 원
500만 원 약 17.7만 원

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: 소득 + 재산 점수로 계산! 

지역가입자는 직장가입자보다 계산이 조금 복잡해요.

소득재산을 점수로 환산해서 합산한 뒤, 점수당 금액(2024년 기준 208.4원)을 곱해요.

자동차 점수는 2024년부터 폐지돼 부담이 줄었답니다!

계산 공식

  1. 연소득 336만 원 이하: 건강보험료 = 최저보험료(19,780원) + (재산 점수 × 208.4원)
  2. 연소득 336만 원 초과: 건강보험료 = (소득 점수 + 재산 점수) × 208.4원

장기요양보험료도 잊지 마세요!
건강보험료에 0.9182% (2024년 기준)를 곱해서 추가로 내야 해요.
예: 건강보험료 10만 원 → 장기요양보험료 = 10만 × 0.009182 ÷ 0.0709 ≈ 1.3만 원

 

소득 점수: 어떤 소득이 포함될까? 

소득은 이자, 배당, 사업, 근로, 연금, 기타 소득을 합산해요.

단, 공적연금(국민연금 등)은 50%만 반영되고, 기초연금이나 장애연금은 제외됩니다.

소득 점수 계산 예시

  • 연소득 3,840만 원 (월 320만 원) → 1,095점 (26등급)
  • 연소득 336만 원 이하 → 소득 점수 0, 최저보험료 19,780원 적용

참고: 소득은 국세청에 신고된 금액을 기준으로 하니, 정확한 소득 신고가 중요해요!

 

재산 점수: 집, 땅, 전월세까지! 

재산은 토지, 주택, 건물, 선박, 항공기, 전·월세를 포함해요.

재산세 과세표준으로 계산하며, 2024년 기준 기본공제 1억 원이 적용돼 부담이 줄었어요.

재산 점수 계산 방식

  • 소유 재산: 재산세 과세표준(시가표준액 × 공정시장가액비율, 2022년부터 45%)에서 1억 원 공제.
  • 전·월세:
    • 전세: 전세금 × 30%
    • 월세: (보증금 + 월세 ÷ 0.025) × 30%
  • 예: 전세 1억 원 → 1억 × 0.3 = 3,000만 원 → 10등급, 244점

 

자동차 점수: 2024년부터 폐지! 
좋은 소식! 2024년부터 자동차 보험료 부과가 없어졌어요.
이전에는 잔존가액 4천만 원 이상 차량에 점수를 부여했지만, 이제는 신경 안 써도 됩니다!

지역가입자 보험료 계산 예시

이제 실제로 계산해 볼게요! 자영업자 A씨 경우를 예로 들어봅시다.

  • 소득: 연 3,840만 원 (소득 점수 1,095점)
  • 재산: 전세 1억 원 (재산 점수 244점)

계산

총 점수 = 1,095 + 244 = 1,339점
건강보험료 = 1,339 × 208.4원 ≈ 27.9만 원
장기요양보험료 = 27.9만 × 0.009182 ÷ 0.0709 ≈ 3.6만 원
총 보험료 = 27.9만 + 3.6만 ≈ 31.5만 원

 

부양가족 등록: 보험료 부담을 줄이는 비밀 무기! 

부양가족(피부양자) 등록은 건강보험료 부담을 줄이는 최고의 방법 중 하나예요!

직장가입자의 가족이 피부양자로 등록되면, 건강보험료를 따로 낼 필요 없이 직장가입자의 보험료로 함께 혜택을 받을 수 있죠.

부양가족 등록 자격

부양가족으로 등록하려면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해요:

  1. 가족 관계:
    • 직장가입자의 배우자, 직계존속(부모, 조부모), 직계비속(자녀, 손자), 형제자매.
    • 배우자의 직계존속(시부모, 장인장모)도 포함.
    • 사실혼 배우자는 등록 불가, 법적 배우자만 가능.
  2. 소득 요건 (2024년 기준):
    • 연소득 2,000만 원 이하 (근로소득은 1,200만 원 이하).
    • 소득에는 이자, 배당, 사업, 근로, 연금 등 포함. 단, 기초연금, 장애연금 등 비과세 소득은 제외.
  3. 재산 요건:
    •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 5.4억 원 이하.
    • 재산에는 부동산(토지, 주택 등), 전·월세 보증금 등이 포함.
  4. 생계유지:
    • 직장가입자와 같은 세대에 속하거나, 생계를 함께해야 함. 단, 부모나 자녀는 별거하더라도 생계 지원 증빙이 있으면 등록 가능.

부양가족 등록 방법

  1. 서류 준비:
    • 신분증, 가족관계증명서.
    • 소득 증빙: 국세청 소득금액증명원, 원천징수영수증 등.
    • 재산 증빙: 재산세 납세증명서, 전·월세 계약서 등.
    • 생계 지원 증빙(필요시): 송금 내역, 통장 사본 등.
  2. 신청 방법:
    • 온라인: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The건강보험 앱에서 신청.
    • 오프라인: 가까운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방문 또는 팩스.
    • 직장 통해: 회사 인사팀에 서류 제출 후 대행 신청 가능.
  3. 소요 시간: 통상 3~7일 내 처리. 심사 결과는 문자나 우편으로 안내.

부양가족 등록 혜택

  • 보험료 면제: 피부양자는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를 전혀 내지 않아요!
  • 동일한 보험 혜택: 직장가입자와 똑같은 의료 서비스(병원 진료, 약 처방 등)를 받을 수 있어요.
  • 가족 전체 부담 감소: 예를 들어, 배우자가 지역가입자로 매달 30만 원 보험료를 내던 상황이라면, 피부양자 등록 후 0원으로!

 

 

 보험료 부담 줄이는 꿀팁! 

건강보험료 부담이 크다면, 이런 방법으로 줄여볼까요?

  1. 피부양자 등록: 소득과 재산이 기준 이하면 직장가입자 가족의 피부양자로 등록해 보험료 면제 가능.
  2. 임의계속가입제도: 퇴직 후 1년 이상 근무한 경우, 직장가입자 때 내던 보험료 수준으로 유지 가능.
  3. 소득 조정 신청: 소득이 급감했다면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조정 신청. 2023년 11월부터 사후정산 제도 도입!
  4. 재취업 고려: 직장가입자로 전환하면 재산 점수가 없어져 부담 감소.

 

반응형